2025 장애인연금 신청방법·자격·지급금액 총정리
2025년 장애인연금은 만 18세 이상 중증장애인에게 월 최대 40만원까지 지급되는 대표 복지제도입니다. 기초급여와 부가급여, 신청 자격과 다른 장애 지원제도와의 관계까지 정리했습니다.
왜 장애인연금을 신청해야 할까?
장애인연금은 최저생활 보장과 중증장애인의 안정적 생활을 위한 제도입니다. 소득·재산이 일정 기준 이하인 만 18세 이상 중증장애인이 대상이며, 매월 현금이 지급됩니다. 노후와 생계 안정을 위해 반드시 신청해야 하는 대표 복지제도입니다.
지급 금액 (2025년 기준)
구분 | 대상 (소득 수준) | 지급 금액 |
---|---|---|
기초급여 | 중증장애인 (소득 하위 70%) | 월 최대 32만 2천원 |
부가급여 |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 | 월 8만원 |
부가급여 | 차상위 초과~중위소득 70% 이하 | 월 4만원 |
총합 | - | 월 최대 40만원 |
👉 기초급여는 모든 대상자에게 지급되지만, 국민연금 수령액이 많으면 일부 감액될 수 있습니다. 👉 부가급여는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이 우선이며, 소득 수준에 따라 8만원 또는 4만원 차등 지급됩니다.
신청 자격·조건
- 연령: 만 18세 이상
- 장애 등급: 중증장애인 (장애 정도 ‘심함’)
- 소득인정액: 가구별 기준 이하 (중위소득 70% 수준)
✅ 2025년 장애인연금 선정기준액 (예상)
가구 유형 | 소득인정액 기준 |
---|---|
단독 가구 | 130만원 미만 |
부부 가구 | 208만원 미만 |
※ 2024년 기준이며, 2025년 금액은 보건복지부 고시에 따라 변동됩니다.
👉 소득인정액 산정 요소
- 소득 평가액: 근로·사업·이전소득 (근로소득 일부 공제 적용)
- 재산 소득환산액: 금융재산(2,000만원 공제), 주택 및 일반재산(거주지별 공제)
- 부채: 일정 범위 내 차감 가능
신청 방법·시기
- 방문 신청: 주소지 주민센터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온라인 신청: 복지로(www.bokjiro.go.kr)
- 신청 시기: 상시 신청 가능
📌 중요! 장애인연금은 신청한 달부터 지급됩니다. 늦게 신청하면 과거 달은 소급 지급되지 않으므로 빠른 신청이 유리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 기초생활수급자도 받을 수 있나요? 가능합니다. 부가급여는 기초생활수급자에게 우선 지급됩니다.
- 국민연금과 중복? 일부 중복 수급 가능하지만, 국민연금 수령액이 많으면 장애인연금 기초급여가 감액될 수 있습니다.
- 경증 장애인도 신청 가능한가요? 아니요. 장애인연금은 중증장애인(장애 정도 ‘심함’)만 해당됩니다. 경증 장애인은 장애 수당을 신청해야 합니다.
- 18세 미만 장애 아동도 받을 수 있나요? 불가합니다. 만 18세 미만은 장애 아동 수당이 별도로 지급됩니다.
- 자동 지급? 국민연금과 달리 반드시 신청해야 지급됩니다.
안내
본 글은 2025년 기준 장애인연금 제도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정확한 선정기준액, 소득인정액 산정 방식, 부가급여 지원 기준은 매년 보건복지부 지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반드시 복지로·주민센터를 통해 최종 확인 후 신청하세요.
출처
- 복지로 – 장애인연금
-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Tags:
장애인연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