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창업패키지 신청방법·자격·지원규모 총정리 (최신 개편)

2025 초기창업패키지 신청방법·자격·지원규모 총정리 (최신 개편)

2025 초기창업패키지 신청방법·자격·지원규모 총정리 (최신 개편)

초기창업패키지는 창업 3년 이내의 기업을 대상으로 최대 3억원의 사업화 자금멘토링·판로 지원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정부 창업 지원 제도입니다.
2025년에는 지역·글로벌 특화 지원이 확대되고, 자부담 구조사업비 사용 용도가 더욱 명확해졌습니다.

📌 지원 자격 및 창업 연차 기준 (2025)

구분 세부 내용 비고
지원 대상 창업 3년 이내 기업 (개인사업자/법인) 사업자등록증 기준
창업 연차 산정 공고일 기준 ‘사업자등록증 개업일’이 3년 이내 (예) 2025년 2월 공고 → 2022년 2월 이후 창업
제외 대상 체납·채무불이행·휴업/폐업 기업 사행성·투기성 업종도 제외
예비창업자 지원 불가 예비창업패키지 신청 필요

💰 지원 규모 및 사업비 사용 용도

구분 비율/금액 세부 사용 용도
정부 지원금 총 사업비의 70% 이내 (최대 3억) 시제품 제작, 외주용역, 기술이전, 특허·인증 등 기술 개발비
창업자 자부담 총 사업비의 30% 이상 (현금 ≥10%) 마케팅·홍보, 전시회 참가, 공간임차, 장비·재료비
대표자 인건비 정부 지원금 사용 불가 자부담 ‘현물’로만 계상 가능

🚀 2025 주요 개편 및 특화 지원

  • 지역 기업 우대 – 비수도권 기업에 지원한도 20% 상향
  • 글로벌 진출 강화 – 해외 IR, 전시회, 네트워킹 별도 지원
  • 평가 지표 개편 – 성장성·스케일업 가능성 비중 확대
  • 청년·여성 가점 – 평가 시 최대 3점 가점 부여

📝 신청 절차 및 지원 기간

  1. 공고 확인 및 접수 – K-Startup 포털 공고 확인 후 사업계획서 제출
  2. 서류/발표 심사 – 혁신성, 시장성, 창업팀 역량 중심 평가
  3. 최종 선정·협약 – 주관기관과 협약 체결
  4. 사업화 지원최대 12개월간 자금·멘토링·판로 지원
  5. 사후 관리 – 종료 후 5년간 성과 보고 의무

⚠️ 유의사항

  • ‘창업 연차’ 기준은 사업자등록 개업일 기준으로 엄격히 적용
  • 정부 지원금은 대표자 인건비 사용 불가 (직원 인건비는 가능)
  • 자부담 현금 10% 이상은 반드시 별도 납부해야 함
  • 중복 지원 제한 – 동일 과제는 타 창업지원 사업과 중복 불가

📚 출처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