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정책자금 안내 – 운전자금·시설자금 금리·보증 비교 총정리
1. 정책자금 지원 기관별 역할 분담 (핵심)
정부 정책자금은 크게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중진공)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소진공)을 통해 집행됩니다. 기업의 규모에 따라 신청 통로가 다르므로 먼저 어디로 가야 할지 확인해야 합니다.
| 지원 기관 | 대상 기업 규모 | 주요 지원 목적 | 비고 |
|---|---|---|---|
| 중진공 | 중소기업 (상시근로자 5인 이상 등) | 혁신성장, 시설 투자, 수출 등 성장형 자금 | 시설자금 최대 30억원 |
| 소진공 | 소상공인 (상시근로자 5인 미만) | 운영 안정, 경영애로 지원 | 운전자금 최대 1~3억원 |
| 신보/기보 | 모든 중소기업/소상공인 | 보증 지원 (대출 실행 담보) | 은행 대출과 연계 |
2. 운전자금 vs 시설자금 금리·기간 비교
| 구분 | 운전자금 (단기 운영) | 시설자금 (중장기 투자) |
|---|---|---|
| 용도 | 재고 구입, 인건비, 외상 결제 | 공장, 기계, 설비, R&D 투자 |
| 지원 한도 | 최대 5억원 내외 (소상공인 1~3억원) | 최대 30억원 (신성장 분야 최대 50억원) |
| 대출 기간 | 1~5년 (거치 1년 + 상환 4년) | 최대 10년 (거치 3년 + 상환 7년) |
| 금리 (2025) | 연 2.5% ~ 4.0% | 연 2.3% ~ 3.5% |
| 보증 연계 | 신용보증재단/신보 보증 90~95% | 기보/신보 (기술력 중심 평가) |
3. 신청 방법 및 성공 전략
- 기관 선택: 중소기업은 중진공, 소상공인은 소진공 우선 확인
- 온라인 신청: 중진공 정책자금 온라인 신청 시스템 이용
- 심사 준비: 사업계획서에 고용 창출 효과·미래 성장성 구체화
- 보증 연계: 신보/기보/신용보증재단 심사 후 은행 대출 실행
4. 2025 주요 개편 사항
- 금리 인하: 평균 0.3~0.5%p 인하, 시설자금 장기 고정금리 확대
- 원스톱 심사: 대출 승인과 보증 심사 동시 진행 → 자금 집행 속도 향상
- 보증 확대: 저신용·재창업 기업 보증비율 상향 (최대 95%)
- 신성장 분야: AI, 로봇, 바이오, 친환경 등 시설자금 한도 50억원까지
⚠️ 정책자금 활용 유의 사항
- 대출 한도 확인: 기관별 연간 대출/보증 한도 초과 여부 반드시 사전 확인
- 용도 외 사용 금지: 허위·부정 사용 시 전액 환수 + 5년간 지원 제한
Tags:
정책자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