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가족부 지원 모음: 돌봄·가족·청소년·여성 자립 지원 총정리

2025 여성가족부 지원 모음: 돌봄·가족·청소년·여성 자립 지원 총정리

아이돌봄서비스, 청소년 활동·상담, 여성 취업·자립, 폭력 피해자 보호까지 2025년 여성가족부 지원제도를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최신 개편 사항 반영

돌봄·가족 지원 (2025년 주요 확대)

  • 아이돌봄서비스 (만 12세 이하):
    • 정부 지원 소득기준 완화: 기준 중위소득 150% → 200% 이하까지 확대
    • 돌보미 처우 개선: 시간당 수당 12,180원 인상, 영아 돌봄수당 1,500원/시간 신설
    • 이른둥이 지원: 지원기간 36개월 → 40개월로 확대
  • 공동육아나눔터: 부모 품앗이 돌봄·장난감 대여·부모교육, 지자체 중심 거점 확대
  • 양육비 이행 강화: 양육비 선지급제 도입 추진, 법률·집행 지원 강화

청소년 지원 (2025년 주요 확대)

  • 보호 종료 청소년 자립: 자립수당 월 50만원 유지, 만 18세 이전 보호 종료자 대상 지원 확대
  • 여성청소년 위생용품 바우처: 월 1.3만원 → 1.4만원 인상
  • 상담·보호: 24시간 청소년상담 1388, 고립·은둔 청소년 회복 프로그램 확대, 쉼터 연계
  • 활동 지원: 수련관·문화·동아리 프로그램 확대, 디지털 성장지원 플랫폼 구축 추진

여성 자립·취업 지원 (2025년 주요 확대)

  • 여성새로일하기센터(새일센터): 경력단절여성 맞춤 상담·직업훈련·인턴 연계
    • 훈련 과정 확대: 고부가가치·지역 유망 직종 79개 → 89개
    • 직업교육 참여수당(신규): 월 10만원 (최대 4회) 지원
    • 새일여성 인턴: 고용유지장려금 1인당 380만원 → 460만원으로 확대
  • 여성 창업: 창업교육·멘토링·시제품·자금 연계 패키지 지원
  • 경력단절 예방: 재직여성 출산·돌봄기 경력단절 사전 예방 프로그램 강화

폭력 피해자 보호 지원 (2025년 주요 확대)

  •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
    • 통합 상담 창구: 1366으로 일원화(365일·24시간)
    • 지원센터 확대: 중앙·지역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 전국 17개 시·도 본격 운영
    • 법적 근거 강화: 불법촬영물 삭제 국가·지자체 책임 확대
  • 복합 피해 원스톱 지원: 교제폭력·스토킹 등 대응 1366 통합지원단 5→11개소 확대
  • 피해자 보호시설: 주거·심리·법률·취업 연계로 자립역량 강화

안내

여성가족부 지원은 돌봄·가족·청소년·여성 자립·폭력 피해 보호를 포괄합니다. 세부 자격·기간·서류는 지역·기관별로 상이할 수 있으니, 반드시 여성가족부 공식 홈페이지거주지 행정복지센터 공고를 확인하세요.

출처

  • 여성가족부
  • 2025년 여성가족부 주요 업무계획·예산(요약)
  • 아이돌봄 지원법 및 관련 고시(요약)
다음 이전